top of page

S & S (space & system)

이성경 Lee Seongkyung

핵가족화, 1인 주거 확산으로 인한 개인주거환경의 변화와 함께 삶의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독립성과 함께 고립성 또한 증가하며 고독사 등 사회적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사회적 고립에 대한 문제점을 일상 속에서 호혜관계 상호작용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수혜자로서 수동적인 삶이 아닌 서로 돕고 도움 받으며 사는 능동적인 삶에 중요성을 둔다.

 

기존의 타임뱅크 개념은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활동한다.

다양한 관계들이 시각화 되어 보여지지 않아, 지속성과 확산성이 약하다는 분석을 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마을의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맥락을 조사, 분석한 자료들을 토대로 공간을 매개로 한 타임뱅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33333-01.jpg
33333-02.jpg
33333-03.jpg
33333-04.jpg
33333-05.jpg
33333-06.jpg
33333-07-07.jpg

©2020 by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